-
반응형
복수는 배에 물이 차는 것이다
혈액중 일부 액체 성분이 혈관에서 빠져나와 복강에 고이는 질병이다.
85%가 간경변증의 합병증이다
간경변증으로 문맥고혈압이 발생하고 혈액이 장막 순환계로 쏠리면서 복수가 발생한다
신장에서 염분 저류가 수분 저류보다 현저히 나타나고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복수가 증가한다
15%는 악성 종양, 결핵성 복막염, 간 매독, 신장질환, 심장질환 때문에 생긴다
원인은 체내 수분과 염분 과다 때문이다
치료는 염분 섭취를 제한하고 이뇨제등 약물을 사용한다
중증으로 호흡이 곤란해지면 합병증이 생긴다. 주사바늘로 뱃속의 물을 빼는 대량 복수 천자 시술을 받아야 한다.
횡경막 아래 림프관이 막혀서 발생한다. 악성 악액질에 의해 발생한다
악화시 복부 팽만, 식욕부진, 호흡 곤란이 온다
알부민은 세포의 기본 물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하나다. 영양 상태를 반영하는 단백질 측정의 중요 지표다
알부민 수치가 3G 밑으로 내려가면 이뇨 작용을 해야 한다
혈관 속에 체액이 머물게 하여 혈관과 조직 사이의 삼투압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혈청 알부민은 혈청 단백질의 50-70%를 차지한다
알부민이 적으면 혈관 밖으로 체액이 빠져나가 혈액량이 줄고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럼증, 부종, 복수가 발생한다
간에서 합성되는데
간기능 저하, 신장 질환, 영양 실조, 염증, 쇼크등으로 알부민이 감소한다
이는 간질환 (황달), 신장 질환 (부종)및 이에 따른 급격한 체중 감소와 영양 부족을 유발한다
정맥 주사로 진단하는데 정상 수치는 3.5-5.2 g/ dl이다
스테로이드제, 성장 호르몬, 인슐린등 특정 약물은 알부민을 증가시켜 간경화, 만성 간질환, 영양장애, 신증후군, 단백 소실성 쉬장병증, 만성 소모성 질환등 저알부민 혐증을 유발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생명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갈과 불개미 (0) 2021.08.13 암치료와 심폐 소생술 (0) 2021.08.13 신장과 크레아티닌 (0) 2021.07.31 부신 기능 부전 에디슨병 (0) 2021.06.22 만성 염증과 크론병 (0) 2021.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