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 우보 고복장, 좌보 예유, 국상 명림답부역사 한국 2022. 10. 10. 12:07반응형
고구려 관직 우보(우상)과 좌상을 합해서 국상이라고 한다
좌보가 더 높으며 국내 문제를 다룬다
우보는 군국지사 병마지사를 다룬다
고구려 우보 고복장은 123년 태조왕때 우보로 태조왕에 충성한다
147년 차대왕이 즉위하면서 처형된다
고구려 좌보 예유는 고구려 5부중 관내부 출신이다
132년 태조왕의 아들 차대왕이 (수성) 왜산에 사냥할 때 수행하며 어지류 양신과 함께 태조왕을 제거하고 수성을 옹립하려는 쿠데타를 시도한다
모본왕이 죽은 후 유리명왕의 아들인 재사가 왕이 되어야 하는데 재사가 늙어서 왕위를 사양했다
그 아들인 태조왕이 왕이 되엇으나 지금 태조왕이 너무 늙엇으니 아들인 수성을 왕으로 옹립하자고 수성을 유혹한다
146년 수성이 왕이 되자 차대왕의 관내부 패자가 된다
147년 좌보에 임명되 차대왕의 최측근이 된다
고구려 국상 (신가) 명림답부는 67-179년 112세 사망
태조왕 차대왕 신대왕때 초대 국상이다
연나라 조의로 있다가
165년 98세 쿠데타로 차대왕을 살해한다
차대왕의 이복 동생인 백고 신대왕을 옹립한다
166년 99세 최초의 국상이 된다. 패자 벼슬 (춘추 오패의 패자)을 얻고 병마 통수권과 양맥 부락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한다
172년 105세 한나라 현도 태수 경림이 침공해 온다.
주변에 적이 사용할 모든 군수물자와 식량을 없애고 적군을 지치게 하는 전술인 청야 전술 (방어측의 초토화 작전)을 펼쳐
한나라군이 굶주리고 후퇴한다. 수천명의 기병으로 한나라군을 추격해 좌원에서 적군을 섬멸한다
감사합니다반응형'역사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준웅 특검 검사 (0) 2023.02.25 고구려 신대왕과 고국천왕 (0) 2022.10.10 판사 김문석 (0) 2022.06.01 조선 선조 대사헌 이해수와 의병장 조헌 (0) 2022.05.29 고려 숙종과 외척 이자의 (0) 2021.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