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영

하버드 창업가 바이블

골드만 싹쓰리 2021. 11. 15. 14:00
반응형

창업가 정신 entrepreneur . start-up 

최고의 창업가는 제정신이 아닌 미치광이 같다. 남들과 전혀 다른 길을 가는 것이다

역경은 창업가를 강하게 만들고 패기 있는 자만이 시장을 정복한다

창업은 흐름을 거스리고 선택과 헌신, 열정과 태도의 문제이다

창업가란 아직 세상에 존재 하지 않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내 놓으려고 끊임없이 새로운 무언가를 하는 사람이다

창업가는 흐름을 역행하는 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지나쳐 버린 곳에 얼마나 다양한 가치가 숨겨져 잇는지를 간파하고 성공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다

창업가 정신은 예술과 같은 인간 경험이다

대부분의 창업가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창업은 가치 창조와 가치 제공을 해야 한다

1) 브라질 상파룰로 벤처기업 텍사스 윈드 창업자 벤토 코이케 - 풍력 터빈 날개 제조 수출 

2)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복제약 제조 수출 업체 액타비스 창업자 로버트 웨스만  - 1999년 29세의 그가 파산에 처한 제약업체를 인수해서 8년만에 100배 성장 , 종업원 11만명, 제품 650개, 제조 공장 21개 , 기업 인수 26건 성공 (성공하려면 훨씬 더 몸집이 커져야 한다) 

회사가 커지지 않으면 죽는다.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가격과 속도가 관건이다. 흔들림 없는 자기 신뢰가 필요하다

성실한 선수가 아니라 세계적 수준의 R&D 센터와 저비용의 공급망을 갖춘 모든 주요 시장에 얼굴을 내미는 주전선수가 되어야만 한다.

특정 시장에서 판매 허가를 받는 첫번째 복제약 업체만이 살아 남는다.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다

마진이 박해서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

사업 초기 웨스만은 복제약에 대한 지식도 인먁도 자금도 없엇다

독일 허가 받을 때 고위 공직자에게 전화를 걸어 협박도 한다

- 만일 우리가 년말까지 허가를 받지 못하면 개인적으로 당신과 당신네 기관을 고소하겟습니다

3) 이스라엘 캡슐형 내시경 필캠의 제조 업체 기븐 이미징의 대표 발명가 가비 머론과 가비 이단- 경쟁사 올림푸스를 누르다 

4) 슬로베니아 TV 쇼핑업체 스튜디오 모더나의 샌디 체스코 -  

획기적인 혁신들은 혁신으로 여겨지기 전까지 하나같이 미친 것 같이 보인다

열정과 기술만 있으면 창업은 누구나 할 수 있다

5) 멕시코 멀티 스크린 영화 체인 시네멕스 창업자 미구엘 다빌라 - 1994년 창업시 기존 영화관들은 스크린은 하나, 좌석은 불편, 매점은 엉망, 가격은 비싸고 정부 통제를 받는다. 창업 10년만에 성공 후 영화관을 3억 달라에 사모펀드에 매각한다. 초기에 자금 확보를 못하던 3명의 창업자 대학교 졸업 예정자들은 우연히 JP 모건으로부터 2150만 달라 (230억원)의 초기 자금 투자를 받는다. 1994년 경제 위기로 멕시코 정부가 페소화의 달러 대비 가치를 반으로 내린다. 공사 중단등의 어려움을 겪지만 위기를 기회로 극복한다

팝콘에 버터 대신 칠리 소스와 라임 쥬스를 끼얹는 것이 유일한 혁신이엇다 

가치는 아이디어의 인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아의 실천과 구현에서 창조된다

정보가 돈이다

은의 중요성을 안 페니키아 상인들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페기물 처리되던 은을 추출하고 부자가 된다

스크랩 금속을 버리는게 골치 아픈 중국 공장을 찾아 스크랩 마그네슘을 필요로 하는 것에 공급해서 부자가 된다

창업가들은 대부분 비이성적 낙관주의자이다

창업가의 역발상적 사고 방식은 시장에서 과대 평가된 자산을 평가 절하하기도 한다

창업은 가치 창조다

창업은 비전을 먼저 갖고 움직이는게 아니라 여러가지 기회에 부딪쳐봄으로써 점진적으로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조준하고 쏘는 것 보다는 쏘고 나서 조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랜 기간 상세 계획을 수립한 후에 벤처는 세운다. 사고가 행동보다 먼저이다

사업은 리스크다, 보상을 얻으려면 리스크는 필수다.

가치 창조는 도박이 아니다. 꼴 사나운 조급함은 꼴 사나운 쓰레기를 양산한다

리스크 최적화는 시장의 니즈와 자신의 열정과 역량의 교차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기회를 찾는 것이다

분산 투자 분산 리스크보다는 한곳에 집중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인다

 

감사합니다

반응형